2024/02 5

[Github Action] Github Action을 통한 자동 배포 적용하기 (Git 인증 과정 추가)

https://obeyjy.tistory.com/entry/Github-Action-Github-Action%EC%9D%84-%ED%86%B5%ED%95%9C-%EC%9E%90%EB%8F%99-%EB%B0%B0%ED%8F%AC-%EC%A0%81%EC%9A%A9%ED%95%98%EA%B8%B0 [Github Action] Github Action을 통한 자동 배포 적용하기 (React + NGINX) 프로젝트 중 React를 통해 구현된 프로젝트가 있고, 해당 프로젝트는 NGINX를 통하여 배포가 되고 있다. React 소스코드가 수정되면 새로운 버전을 서버에 반영하기 위해서는 아래의 과정을 거쳐야 obeyjy.tistory.com 이전 글에서 Github action을 통해서 Push 이벤트가 발생되었을..

Development/Git 2024.02.26

[HL7 FHIR] 의료 정보 교환을 위한 표준 프레임워크

HL7 FHIR(Fast Healthcare Interoperability Resources)는 의료 정보 교환을 위한 차세대 표준 프레임워크입니다. 기존 HL7 표준의 복잡성을 해결하고 API 기반 접근 방식을 도입하여 의료 데이터의 상호 운용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주요 특징 RESTful API: FHIR는 표준화된 RESTful API를 사용하여 의료 데이터에 대한 간편하고 효율적인 접근을 제공합니다. 자원 기반 모델: FHIR는 의료 데이터를 "자원"이라는 개별 항목으로 정의하여 관리 및 교환을 용이하게 합니다. JSON 및 XML 지원: FHIR는 JSON과 XML 두 가지 데이터 형식을 지원하여 다양한 시스템과의 호환성을 높입니다. 모듈형 설계: FHIR는 필요에 따라 선택..

인공지능/AI 2024.02.25

적립식 매수 실천하기 (시작 ~ 7주차)

2024년부터는 미국 주식에 적립식 매수를 진행해 보려고 한다. 적립식 매수를 진행하는 과정을 매주 작성하고 기록하려고 한다. 보통 적립식 매수를 진행할 때 많은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수 있지만, 내가 결정한 항목은 두 종목이다. 1. QQQM - 나스닥 100을 추종하는 지수로서 미국의 성장주에 투자하는 개념 2. SCHD - 배당 성장주로서 주가의 큰 상승/하락보다 장기 투자로 들고 가며 향후 배당금 증가에 투자하는 개념 각 항목에 대한 투자 비율은 2024년에는 6:4의 비율로 투자할 계획이다. 물론 투자 비율은 증시의 현황에 따라 바뀔 수 있지만 최대한 유지할 예정이다. 현재 나이를 고려했을 때 배당 성장주인 SCHD의 비율을 높이는 것보다 성장주에 투자 비율을 조금 더 높여 시드의 상승을 기대하는..

일상/투자 2024.02.23

[Github Action] Github Action을 통한 자동 배포 적용하기 (React + NGINX)

프로젝트 중 React를 통해 구현된 프로젝트가 있고, 해당 프로젝트는 NGINX를 통하여 배포가 되고 있다. React 소스코드가 수정되면 새로운 버전을 서버에 반영하기 위해서는 아래의 과정을 거쳐야 한다 1. 프로젝트 수정 파일을 Github에 Push 한다. 2. 배포 중인 서버에 접속해서 Github의 최신 버전을 Pull한다. 3. `npm run build`를 통하여 새로운 빌드 파일을 생성한다. 4. 서버 프레임워크를 재시작한다. 위의 과정을 한두 번 거치는 것은 크게 불편하지 않을 수 있지만, 위 과정이 많은 횟수로 지속된다면 생산성이 비효율적으로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 과정을 한 번 수행하는 데 1분이 걸린다면 10회에는 10분이 소요된다. 티끌 모아 태산이랄까? 개발자에게 ..

Development/Git 2024.02.23

[Troubleshooting] React + NGINX 배포 과정에서의 failed (13: Permission denied) 해결

React에서 프로젝트를 개발하고 배포하는 방법은 여러 방법이 있다. 요즘 많이 사용하는 것은 AWS의 amplify를 사용하여 배포하는 추세인 것 같다. 참으로 간편하게 배포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배포를 안내해 주는 여러 글들도 있다. 하지만 현재 구동 중인 서버는 Ubuntu OS이고 주로 사용하는 서버 프레임워크는 NGINX이기 때문에 NGINX를 통하여 배포를 하려고 했다. React로 구현한 프로젝트는 간단하게 빌드 파일을 생성할 수 있으며, 해당 빌드 파일은 Serving 해 주기만 하면 된다. 근데 NGINX 모든 설정을 마무리 하고 서버를 구동하는 순간 Error 500과 동시에 의도된 페이지가 나오지 않는 문제가 발생했다. 에러를 확인해 보니 아래와 같은 에러가 띠용! 하고 나타난 것..

OS/Ubuntu 2024.02.23